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효율성 확인된 재택근무, 합리적 안정화 방안도 필요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 확산과 경기 완충 효과’ 보고서는 한국 경제에 미친 재택근무의 영향을 수치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동안의 여러 자료는 추세적인 증감이나 설문에 의존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피상적이란 한계가 불가피했다. “출퇴근시간이 줄어들고 여유시간도 많아져 생산성도 증가했을 것”이라는 식이다.

이번 한은 자료는 재택근무의 효율성을 수치로 입증했다. 지난 2019년 9만5000명이던 재택근무자는 지난해 114만명으로 크게 늘었나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0.3%에서 4.2%로 커졌다. 유의미한 규모가 되면서 영향 분석도 가능해졌다. 2020년 1분기와 2분기의 경우 근무지 생산은 각각 2.9%포인트, 5.5%포인트 감소했지만 실제 GDP 성장률은 1.3%, 3.1% 감소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3분기에는 근무지 생산이 3.4%나 줄어들었음에도 실질 GDP는 0.3%의 성장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재택근무의 완충 효과다.

하지만 재택근무의 효율성을 긍정적으로만 보는 것은 위험하다. 아직은 재택근무가 고학력·고기능 직군에 밀집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돈도 더 잘 벌고 고용도 안정적이다.

실제로 재택근무를 하는 고졸 이하 학력자는 1.2%에 불과하다. 반면 대졸자는 8.5%, 대학원 졸업자는 16.5%나 된다. 비재택근무자의 임금 상승률은 지난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4.0%, 2.7%에 불과하지만 재택근무자의 그것은 11.8%, 8.2%나 된다. 또 재택근무자가 1년 후에 취업 상태를 유지할 확률도 86.0%로, 비재택근무자(74.9%)보다 높다. 또 다른 양극화의 한 단면이 되고 있다는 얘기다.

우리나라처럼 출퇴근시간이 길고 IT 인프라가 발달한 경우에는 재택근무 확대로 인한 생산성 향상 여지가 크다. 기업들도 적극적이니 비대면으로 전환하는 업무와 업종은 더 늘어난다. 국가 입장에서도 교통 정체 완화, 인구의 도심 집중 해소 등 환경 개선에 기여하니 더 권장한다. 앞으로 늘어날 일 뿐이다. 향후 10년 안에 재택근무자 비중이 10~20%로 늘어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이쯤에서 기업과 정부는 재택근무의 부작용에대한 검토와 대응책도 준비해야 한다. 이미 미국에선 더 유연하고 재택근무가 가능한 곳을 찾아 자발적 퇴사를 하는 대이직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취업률은 정점에 올랐고 현장 노동하는 인력 구하기가 힘들어졌다. 그건 급격한 임금 상승을 부르고 강력한 인플레 요인이 된다. 호재가 악재로 바뀌는 건 순식간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