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콩 주민도 美기업도 ‘탈홍콩’
‘금융허브’ 빈껍데기 우려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강행 처리에 맞서 미국이 홍콩의 특별지위 박탈 절차를 시작한다고 맞서면서 홍콩에 터전을 잡고 활동해온 미국 기업들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이미 적지 않은 홍콩 주민들이 이민 행렬에 가세한 가운데 기업들까지 떠날 경우 자칫 아시아 경제·금융 중심지로서 성장해온 홍콩이 빈껍데기만 남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1일(현지시간)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에 이어 홍콩보안법으로 사회 혼란이 계속되면서 홍콩 주재 미국 기업들이 장기적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고 전했다.

현재 홍콩에 자리 잡은 미국기업은 1300개 이상으로, 8만5000여명의 미국인이 일하고 있다. 페덱스나 P&G처럼 홍콩에 지역 본부나 지사를 두는 등 홍콩에 공들여온 기업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홍콩 특별지위가 사라지고, 홍콩 사회 혼란이 지속되면 미국 기업들 입장에선 홍콩의 매력이 크게 사라진다. 홍콩 주재 미국상공회의소(AMCHAM·암참)의 타라 조셉 회장은 “특별지위에 대한 확실한 세부사항이 없다”며 “홍콩에서의 미국 기업들의 사업은 크고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좀더 명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홍콩을 사랑한다”고 말했지만 동시에 “앞으로 험난한 일주일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미국 기업들이 홍콩을 실제로 떠날 수도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송환법 반대 시위가 극에 달했던 지난해 10월 암참 조사에선 홍콩 주재 미국 기업의 61%가 ‘철수를 선택지 중 하나로 고려하고 있다’고 답한 바 있다.

홍콩 주민들의 홍콩 이탈 행렬도 미국 기업들의 고민을 깊게 만드는 요인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의 이민자문사 앤플렉스의 앤드루 로 최고경영자(CEO)는 홍콩보안법 이전엔 하루 10여건이었던 이민 문의가 최근 100여건으로 급증했다고 밝혔다. 그는 “당장 다음날 떠날 수 있는지 묻는 고객도 있었다”고 했다.

이 같은 이민 행렬은 기성세대보다 젊은층에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이 같은 탈(脫)홍콩 행렬이 최고 인재를 채용하고 유지하려고 하는 글로벌 기업에게는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치·제도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우수 인재까지 확보하기 힘들다면 외국 기업이 굳이 홍콩에 발붙이고 있을 이유가 없단 것이다.

다만 특별지위가 설사 없어지더라도 중국이란 거대 시장을 접근하기 위한 관문으로서 홍콩의 위상이 여전하다는 점에서 미국 기업들이 계속 머물 수밖에 없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홍콩의 두 번째 교역 상대국으로, 홍콩 당국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의 대 홍콩 무역흑자는 2970억달러에 달한다. 김우영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