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DB대우증권, “지금이 해외시장 확대 절호의 기회”…차별화된 전략으로 신성장동력 찾는다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국내 금융투자업계의 시련이 깊어지고 있다. 증권사들은 앞다퉈 구조조정과 조직 정비로 허리띠를 졸라매지만 주식거래대금 감소에 따른 영업 부진을 만회하기엔 역부족이다. 올해도 상황이 여의치 않기는 마찬가지다. 이에 증권사들은 자사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신성장동력 찾기에 분주하다. 시련 속에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금융투자업계의 노력을 살펴봤다.

KDB대우증권은 올해 해외 진출 확대로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려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해외 부문이 전체 매출과 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물론 근무인력 비중도 2015년까지 두 자릿수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로 세웠다.

김기범 KDB대우증권 사장은 “해외 진출은 수익구조 다변화와 함께 인력 재배치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라며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를 통해 현재 전체의 5~6% 수준인 KDB대우증권 임직원의 해외근무 인력 비중과 해외부문이 차지하는 매출 및 이익 비중을 2015년까지 1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김 사장은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메이저 금융사들의 체력이 약화된 지금이 해외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을 절호의 기회로 보고 있다.

작년 말 현재 홍콩 뉴욕 런던 등 세계 11개 지역에 해외 거점을 보유하고 있는 대우증권은 이미 해외에서 성공 노하우를 터득했다. 1994년 진출해 세운 홍콩 현지법인은 주식 세일즈와 투자은행(IB), 트레이딩 등을 통해 2012회계연도 285억원의 세전순이익을 거뒀다. 또 지난해 인도네시아 최대 온라인 증권사인 이트레이딩증권을 인수한 뒤 현지법인으로 전환한 인도네시아법인도 2012년 약 50억원(세전)의 수익을 냈다. 지난해 진출한 몽골 현지법인도 자원과 IB딜, 금융상품 소싱 등으로 새로운 수익 창출에 나서고 있다.

김 사장은 “홍콩과 인도네시아, 몽골 등 성공한 3가지 사업모델을 활용해 다른 해외사업 특성에 맞게 적용할 계획”이라며 “해외 진출은 이머징마켓과 선진국·미진출 지역별로 차별화한 전략을 세우고 전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성장 가능성이 큰 이머징마켓은 중장기 계획을 갖고 현지 진출한 뒤 국내 인력과 노하우를 투입해 종합증권사로 육성한다는 로드맵이다. 대우증권은 해외진출 성공사례로 꼽히는 인도네시아법인에 브로커리지·자산관리·IB(투자은행) 등 본사 인력을 파견, 본격적인 종합증권사 영업에 들어간다는 구상이다.

선진국과 미진출 지역에선 개별 투자 프로젝트를 발굴해 자기자본투자(PI)를 하거나 금융 주관 업무를 수행할 방침이다. 대우증권은 지난해 미국 애플 사옥 매입이나 미얀마 호텔개발사업 투자 등 해외 투자에서 가시적 성과를 이뤘다. 올해도 부동산이나 해외 개발사업 등을 중심으로 6~7건의 글로벌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미진출 지역 중 몽골 같이 아직 금융시장 발전이 늦은 곳에서는 ‘딜 소싱(확보)을 위한 거점 확보’ 전략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인력을 최소로 유지하면서 자원개발 금융지원 등 현지에 특화된 영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정태영 KDB대우증권 전략기획본부장(부사장)은 “아직 진출하지 않은 국가에서는 딜 소싱 위주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이와 연계한 국내 투자자 대상의 다양한 금융상품 개발 등으로 수익 향상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